문학/책

반짝거리지 않아도 빛을 품은 시편들

입력 2023.11.20 18:39 최민석 기자
박정인 첫 시집 '웃음 캡슐' 발간
절망보다 희망을 향한 낙관주의
따스한 심상 동화적 상상력 확장
시 본연의 자세 추스르는 일관성

시인은 시간을 거슬러 언어로 이미지를 만들어낸다.

시간을 거꾸로 살 수 있다면 어떤 풍경이 떠오르는가. 영화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에서 촉발된 박정인 시인의 상상력은 지난 2010년 칠레에서 광산 붕괴로 매몰됐던 광부 33명을 구해낸 '구조용 캡슐'에 이른다. 박정인 시인이 첫 시집 '웃음 캡슐'(문학들刊)을 펴냈다.

"스무 살 인생이 기쁘지 않는 아이들"이 "너른 세상을 발견하게" 되고 "행복한 적이 없다는 할머니"가 "우울증 걸린 하늘"을 걷어내고, "술기운으로 소리 지르는 슬픔들"이 "꽃피는 기쁨으로 바뀔지도 몰라"라고 시인은 노래한다.

시인은 절망보다는 희망을 꿈꾸는 낙관주의자다. 그래서 이번 시집은 슬픔과 아픔을 절규하기보다는 그 이면에 숨어 있는 본질을 응시하며 우리의 삶을 위로해준다.

어느 날 시인은 흠집 나고 귀가 늘어진 낡은 구두를 보고 속삭인다. "많은 날을 걸어 알게 되었지/빛나는 존재는 어둠이 필요하다는 걸/텅 빈 품 안에서 빛으로 말해/발이 주인이 아니라/신이 주인이라고// 반짝거리지 않아도 빛을 품은/ 나를 발견할 때/ 우리는 저마다 삶의 주인이 되는 거라고"('낡은 구두의 노래').

이처럼 맑고 따스한 심성은 곧잘 동화적 상상력으로 확장된다. 어느 날 박물관에서 만난 '나무새'에 자신의 꿈을 투영한 '노도새'는 아련하면서도 그윽한 정취를 자아낸다.

"노도 위에 나무새 살았네/걷지 못하는 소녀 날게 했다는//휠체어 타고 온 소녀가 말했네/'넌 날 수 있어'/소녀를 기다리며/밤이나 낮이나 나는 연습을 했네" "안 되니까 네가 필요했다 말하는 노도새/소녀의 휠체어가 되어 날아다녔네"

이러한 박 시인의 시적 특성을 김규성 시인은 '맑고 따뜻한 내공의 향기'로 규정했다.

그는 "박정인의 언어는 그 표현과 내면의 정서가 일치한다. 화려한 수식이나 교묘한 언어유희를 멀리하고, 언어와 감정의 절제를 바탕으로 뿌리 깊은 진실을 추구하기 때문에 그의 시는 자연스럽고 순수하다"고 평했다.

이어 "그는 특히 언어와 실제 본질과의 괴리를 상상력이나 새로움으로 포장해 내실 없는 혼돈을 조장하는 시단 일부의 일탈 현상을 비켜서서, 시 본연의 자세를 추스르는 소중한 시적 자산에 충실하다"고 밝혔다.

박정인 시인

박정인 시인은 장성에서 태어나 전남대 국어교육과를 졸업했다. 1998년부터 '사래시' 동인으로 활동했으며 2021년 '작가'로 등단했다.

최민석기자 cms20@mdilbo.com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문화, 여행, 공연 등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50

문학/책 주요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