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현대미술 대표 작가로 '명성'
1990년대 독창적 '물성주의' 제기
구상·추상 넘는 독창적 세계 구축
생명력·직관 바탕 늘 새로움 추구
15년만에 고향 찾아 30여점 선봬
"고향 힘 통해 작품의 길 찾아 보람"

한국 현대미술을 대표하는 최인선 작가(홍익대 회화과 교수)는 '회화란 무엇인가'라는 본질적인 질문에 대해 끊임없이 탐구해왔다.
작가는 회화에 대해 '물질이자 모방'이라고 말한다. 회화 자체가 진리이고 본질일 수는 없다는 것은 회화의 숙명론적 허구성이기도 하다. 작가는 이를 바탕으로 가시적 세계와 그 너머 비가시적 세계의 관계를 해석하고는데 주력했다.

작가는 1970년대 단색화의 정신을 계승해 1990년대 '물성주의'라는 독창적 회화언어를 제기했다. 이후에는 '색면의 시대'와 '시간적 입체주의'에 이르기까지 구상과 추상을 넘나드는 역동적인 작품 세계를 펼쳐왔다. 그가 보여 온 물성에서 기호로, 색으로의 다양한 평면 작품들의 시도 역시 회화 자체의 정의를 탐구하는 끊임없는 호기심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작가의 최근 작업에서 보이는 작품들의 핵심 키워드는 '생명력'과 '직관'이다. 그는 그림이 되지 않게 그려서 되레 그림이라는 것을 증명하는, 다소 역설적이고 어색한 행위를 주목한다. 작가에게 예측불허의 상황은 자신의 도전을 더욱 매력적으로 만드는 요인이 된다. 자연적 흐름이나 순리를 따라가면서도 익숙한 길 대신 새로움을 향한 긴장의 끈은 놓지 않으려 애쓰고 있다.

얼마 전 완성한 붉은 나뭇잎을 그린 소품은 작가가 추구하는 작품세계를 이해할 수 있는 한 사례다.
"어느 날 작품을 완성하고 벽에 세워뒀더니, 바람이 지나가며 팽팽한 캔버스의 화면이 심하게 흔들리는 것이었어요. 순간 저는 흰 평붓의 반복적인 짧은 터치로 바람을 화면 위에 잡아두었습니다. 완성이라고 생각했던 그림이었지만 회화는 그림 안에 고정돼 있지 않고 끝없이 그림 밖의 세계와 만나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 작업이었습니다."
작가는 자신의 그림이 특정 사조나 형식에 갇히는 것을 원하지 않으며 그 어느 곳에도 속하지 않는 '새것'이 되길 원한다. 그 새것은 세상에 오직 하나 뿐인 스스로에서부터 나오는 것일 때 생명력을 얻는다.
작가가 추구해온 '새것'에 대한 성과물은 오는 7월 25일까지 광주과학기술원(GIST) 오룡아트홀에서 만날 수 있다. '회화의 고백'을 부제로 열리는 이번 전시회에서는 200호 크기 대형 추상 회화 작품들을 중심으로 한 30여 점이 새로운 시각적 경험을 선사한다.
서울과 춘천에 거주하는 작가가 15년 만에 고향 광주에서 전시회를 갖는 의미도 각별하다. GIST의 장소성이 갖는 교육적 의미와 함께 쾌적한 환경은 관람객들의 발길을 이끄는 요인이다.

작가는 "넓은 시야가 확보되는 오룡홀에 작품을 걸어두고 보니 이 전시를 잘했다는 생각이 든다"면서 "이곳의 따스한 기운은 고향이 주는 힘이고, 무엇보다 저의 회화가 나아가야 할 길이 또 새롭게 보이는 것 같다"고 소감을 밝혔다.
작가는 홍익대학교와 뉴욕주립대 대학원을 졸업했으며 현재 홍익대 회화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2002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 (문화관광부 장관상), 1994 대한민국 미술대전 우수상, 1992 중앙미술대전 대상 등을 수상하고, 뉴욕 소더비, 홍콩 크리스티 경매에 참여했다.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광주시립미술관 등에 작품이 소장돼 있다.
그는 예술가로서 활동 외에도 2018년 인카네이션 문화예술재단을 설립, 매년 청년 작가 들을 선정해 예술상을 수여하고 예술장학금과 창작지원금을 후원하고 있다. 지금까지 약 17억 원의 사재를 들여 어린이·노약자 의료비 지원에도 기여했다.
이번 전시는 주말과 휴일을 제외한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무료로 관람 가능하다. 오는 7월 4일 오후 4시에는 작가와의 만남 행사도 진행된다 .
김만선기자 geosigi22@mdilbo.com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문화, 여행, 공연 등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