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월 20일은 '세계인의 날'이다. '세계인의 날'은 국민과 재한외국인이 서로의 문화와 전통을 존중하며 더불어 살아가는 사회를 조성하기 위해 법정기념일로 제정했다. 예전 사회에는 다문화에 대해 차별하고 자신과의 다름을 인정하지 못했지만 법과 제도, 문화가 발전하면서 다름을 인정하기 시작했다. 다문화가정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7년에는 15만5천457명, 2018년 15만9천206명, 2019년 16만6천25명, 2020년 16만8천594명, 2021년 16만8천611명으로 꾸준히 늘고 있다. 제16회를 맞은 '세계인의 날'에 세계국가의 여러 문화를 느껴보고 즐겨볼 수 있는 곳을 소개한다.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어린이문화원
놀면서 익히는 아시아 신화·역사
일상에서 쉽게 아시아문화 체험을 할 수 있는 곳은 바로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 있는 어린이문화원이다. 이 곳은 아이들에게 아시아 여러 나라의 스토리를 과거의 신화, 역사 등으로 엮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녹여냈다.
이곳은 3개의 공간으로 꾸며졌다. 자연과 생활, 지식과 문명, 감각과 표현 공간이다.
'자연과 생활' 공간은 계단식 논, 동굴 등과 같이 자연과 함께 어우러진 아시아의 생활을 알아볼 수 있다.


'지식과 문명' 공간은 아시아의 4대 문명과 우리의 문자 등을 직접 체험해 볼 수 있어 아이와 함께 방문하기 좋다.
'감각과 표현' 공간은 아시아의 인형극의 시작부터 직접 인형극을 해보며 창의력을 기를 수 있는 공간이다. 인형극을 통해 아시아 문화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이곳은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춰 쉽게 꾸며진 공간이다 보니 아이와 함께 공부하며 즐길 수 있는 공간이다. 광주광역시 동구 광산동 113
광주교육대 다문화교육체험관
각국 풍경·의상·전통놀이 한번에
여러 국가를 여행하는 듯한 느낌을 주는 이 곳, 바로 다문화교육체험관이다. 다문화교육체험관은 광주교육대학교 문화예술교육센터에서 운영하고 있다.
이곳은 우리 생활에서 세계문화가 이질감 없이 익숙해지도록 하기 위해 만들어진 곳이다. 다문화교육체험관은 인류의 역사부터 시작해 세계 여러 국가의 문화를 알 수 있도록 꾸며졌다.

다문화교육체험관에는 우리에게 익숙한 아시아 국가 뿐 아니라 다른 여러 국가의 화장실 문화, 풍경, 의상 등에 대해 알아볼 수 있는 등 재미있는 콘텐츠가 다양하다.
우리나라의 익숙한 동요인 '작은 별'을 여러 국가의 언어로 들어 볼 수 있고 전래동화도 다른 나라의 언어로도 즐길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눈으로만 보는 것 외에도 직접 만져보기도 하고 입어볼 수 있어서 해당 국가에 온 듯한 느낌을 준다. 또 세계국가의 전통 놀이를 직접 즐길 수 있도록 공간이 마련돼 있어 아이가 뛰어놀기 좋다. 인도네시아의 '라리까유', 일본의 '다루마 오토시', 한국의 '활쏘기'를 직접 해볼 수 있어 색다른 추억을 선사한다. 광주시 북구 필문대로55 풍향문화관 3층
서울 다문화박물관
만져보고 타고…자유자재 오감 체험
책에서만 보던 세계문화를 오감으로 체험해 보고 싶다면 서울의 다문화박물관을 추천한다. 이곳에서는 다른 곳과 달리 러시아, 네덜란드 등 세계 각국의 랜드마크와, 화폐, 전통 음식, 악기 등을 한 곳에서 경험할 수 있는 박물관이다.
박물관에는 직접 만져보고 올라탈 수 있는 조형물들도 있어 오감 체험이 가능하다.
이외에도 해당 국가의 원어민 강사와 함께 만들어 보고 체험할 수 있어서 세계문화를 실감나게 즐길 수 있다.
다문화박물관의 프로그램은 세계의 전통춤, 문화, 전통음식, 공예품 만들기로 구성됐다. 학교나 책으로 배웠던 지식을 이곳에서 활용한다면 더욱더 즐거운 나들이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1층부터 5층까지 각 나라의 실제 전시품들도 있어서 현장에 대한 몰입감을 더한다.
다문화박물관은 제16회 세계인의 날을 맞아 특별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우크라이나 가정식 만들기'와 '아프리카 음악 체험 프로그램'을 실시한다. 이곳을 방문하려면 사전 예약을 통해 관람할 수 있다. 서울 은평구 불광로 135
이경원기자 ahk7550@mdilbo.com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문화, 여행, 공연 등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50